package.json은 다음과 같다. 특별히 필요한 모듈이 없어서 설명할 것도 없을것 같다. { "name": "LunaStratos", "engines": { "node": ">=4.3.2" }, "description": "final russian roulette", "main": "index.js", "devDependencies": { "@google-cloud/storage": "^1.4.0", "actions-on-google": "^1.5.1", "package": "^1.0.1", "package.json": "^2.0.1" }, "scripts": { "deploy": "gcloud app deploy", "start": "node index.js", "lint": "samples li..
에러) git push -u origin master 입력시 error: src refspec master does not match any.error: failed to push some refs to 'ㄸㄸㄸㄸㄸㄸㄸㄸㄸㄸㄸㄸㄸㄸ' master 브랜치가 없어서 생기는 문제 해결방법 git add 파일이름(ex: index.js)git commit -m "initial commit"git push -u origin master 에러 fatal: unable to auto-detect email address (got 'ACID@ACID.(none)') 여기서 여기서 이름과 이메일 설정이 없다고 하면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이다."git config --global us..
구글의 dialogflow를 이용해서 앱을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마 한국 블로그에서는 많지 않을 것이다.결론적으로는 구글 어시스턴트에 올릴수 있는 앱을 dialogflow로 만들 수 있다. 이 글은 그 과정을 담은 글이다. 시행착오가 거의 없었기에 2일정도지만실제로는 미래 개발해 보는 과정을 하지 않았다면 1~2주 걸리지 않았을까 싶다. 우선 필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1. nodejs (자바스크립트) 2. dialogflow 계정, 이니까 구글 계정 이정도이다. 우선개발할 앱을 생각했는데, 간단한 앱은 나중에 만들었고(나중에 등장할 로또번호 생성기이다.)러시안룰렛 게임을 만들었다. 이걸 선택한 이유는 - 게임의 규모가 크지 않고 - 로직이 개발할 정도로 할만하고 - 결정적으로 그게 정당 하다고 느꼈기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일본의 교통비 물가는 살인적이다. 정말 살인을 할 정도. 도쿄-오사카 고속도로 비용이 9000엔이다. 한국은 2만원대인데 비해서 4배이상이다. 신칸선으로 갈경우 편도가 14000엔(..) 왕복하면 28000엔이다. 암튼 전철도 비슷한데 한번 탈때 대략 240엔 정도, 짧을 경우 180엔 정도가 된다.그래서 일본의 회사들은 대부분 정기권에 대한 비용을 정산해준다.즉 회사에 다니는 교통비용을 회사가 부담하는 것. 정기권은 예전에는 전철회사 오피스에서 신청을 하였다고 한다.지금은 단말기에서 신청을 하니 간편해진 셈이다. 정기권이 있어서 일본의 통근 교통요금은 없다고 보는 편이다. 물론 가아아아끔 노미카니-망년회-같은게 끼면 다른 역에서 마시는 것도 있어서 그럴때는 들지만 보통은 저걸로 해결되니 없는 편. 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