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식이 좀 정리가 안된거 같아서 정리겸 써본다
- RWX
파일 권한은 rwx로 구분할수 있다.
R: Read 읽기
W: Write 쓰기
X: eXecute 실행
이걸 1글자로 표현한것이라고 한다.
리눅스 상에서 쓸때는 -rwxr-xr-- 이런식으로 쓴다
형태는 -(owner사용자)(그룹)(그외사용자)순인데 빈칸은 - 로 채워주는 형식이다.
즉 극단적으로는 -r-------- 도 이론적으로 가능한거 같다(owner사용자가 읽기만 가능한 무식한...)
이것을 숫자로 나타내는 방법은
r : 4
w: 2
e: 1
로 더해서 표현하면 된다.
-rwxrwxrwx같은 경우는 (4+2+1)(4+2+1)(4+2+1)임으로 777이 된다.
-rwxr-xr-x는 (4+2+1)(4+1)(4+1)임으로 755 이다.
----------이면 모두가 0이니 000이 된다.
chmod
권한을 주거나 뺏을수 있는 명령어 인데
chmod a + w
같이 쓴다.
u 사용자, g 그룹, o 다른사용자, a 전부
이며 뒤에 붙는건 rwx 형태이다
+는 권한을 주는것
-는 권한을 뺏는것이다.
참고글 :
Fun with Numbers in chmod (kh.edu.tw)
리눅스 권한 관리 명령어 사용법 정리 (chmod, chown, chgrp 명령어) (withcoding.com)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 백엔드 제작 후기 (0) | 2022.02.07 |
---|---|
[GITHUB] LunaStratos 주소 (0) | 2018.12.20 |
Git 초기 설정때 src refspec master does not match any. 문제 해결법 (0) | 2017.12.17 |
게시판에 에디터 씌우기 for cleditor and CKEditor (0) | 2017.10.04 |
이클립스에서 DB설정 방법 for oracle (0) | 2017.09.16 |